본문 바로가기

여러가지 해외이슈

종교와 정치, 그들의 타협을 들여다보자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고?" – 종교와 정치, 그 불편한 타협 속으로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는 말이 현실이 되다니, 시대를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야기처럼 들린다. 종교는 본래 정치와 분리되어야 한다는 게 상식인데, 이제는 국가의 승인 없이는 종교 지도자가 탄생할 수 없게 되었다니, 놀라운 일이다. 최근 교황청과 중국이 주교 임명에 대한 합의를 연장했다는 소식은 이런 황당한 상황을 그대로 보여준다. 더 충격적인 것은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 상황을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교회의 독립성을 지키기보다는 정치적 타협을 수용하며 상황을 받아들이는 모습이다.

교황청은 중국과 "존중과 대화"를 통해 협력하겠다고 했지만, 과연 그 존중이 누구를 위한 것일까? 수십 년간 중국 정부의 탄압 속에서도 신앙을 지켜온 지하 교회 신자들에게는 이 합의가 기만처럼 느껴질 법하다.


그들은 목숨을 걸고 독립적인 신앙을 지켜왔는데, 이제는 정부의 승인을 받은 주교 아래서 신앙 생활을 해야 한다니, 이것이 과연 진정한 종교적 자유일까? 하지만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 상황을 묵인하는 모습으로, 교회의 독립성에 대한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고 있다.


사실상 중요한 종교적 결정이 더 이상 교회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의 허락을 받아야만 가능한 일이 되어버린 것이다. 교황청도 중국 정부의 승인 없이는 주교를 임명할 수 없는 이 상황에서, 교회의 독립성은 말뿐이 되어버렸다. 더구나,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 문제에 대해 분명한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은 신자들에게 큰 실망을 안기고 있다.

이러한 사례는 비단 중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 같은 이슬람 국가들에서도 종교 지도자가 곧 국가의 지도자로 군림한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국왕이 종교적 권위를 겸하며, 이슬람 교리가 법의 기초가 된다. 이란에서는 최고 지도자가 종교적 권위를 이용해 국가의 모든 중요한 결정을 주도하며, 국가의 요구가 우선시된다. 이러한 나라들에서는 종교와 정치가 분리되지 않고, 종교적 자유보다는 국가의 요구가 앞선다.

결국, 이번 합의는 종교가 정치적 도구로 전락할 수 있다는 냉혹한 현실을 보여준다. 종교는 본래 신앙과 도덕을 가르치는 역할을 해야 하지만, 중국 정부와의 이번 합의를 보면 종교가 정치의 일부가 되어버린 것처럼 보인다. 신앙의 자유는 중국 정부의 승인에 달려 있고, 주교 임명 역시 더 이상 교회의 독립적인 결정이 아니라 국가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침묵은 신자들에게 큰 실망을 주고 있다.

 

이쯤 되면, "종교 지도자를 국가가 임명한다"는 말이 농담이 아닌 현실이 되어버렸다. 정치적 타협 속에서 종교의 본질은 왜곡되고, 신자들은 그 결과를 감내해야만 한다. 이 상황 속에서 우리는 종교의 독립성과 신앙의 자유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사진출처: AP News (https://apnews.com/article/china-vatican-agreement-b9cd669a0a91ad3da8fc70fe41611b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