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국 개신교의 성범죄: 피해자 중심의 대응 전무한 현실 한국 개신교의 사이비와 범죄: 신뢰 회복을 위한 진단한국 개신교의 주요 교단들은 신앙의 도덕성을 지키기보다는 목회자들의 범죄와 부패 사건으로 사회적 물의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성범죄, 재정 비리, 세습 등 여러 문제들이 교단을 가리지 않고 발생하고 있지만, 교단 지도부의 대응은 미흡하거나 자정 노력이 부족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각 교단별 대표적인 범죄 사례를 살펴보고, 사이비 및 이단 리스트의 최신화를 통해 한국 교회의 문제를 진단해 보겠습니다.1. 기독교복음선교회(JMS): 성범죄의 악몽JMS는 정명석 총재가 이끄는 단체로, 여신도를 대상으로 한 성범죄 사건으로 큰 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정명석은 과거에도 성범죄로 복역한 경험이 있으며, 최근 다시 성범죄로 재구속되었습니다. JMS는 대학가에서 .. 더보기 성 학대 사건과 가톨릭 교회: 언론과 정치의 은폐 전략 가톨릭 교회의 신뢰 위기와 내부 문제가톨릭 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깊은 신뢰와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종교 단체이다. 그러나 성 학대 사건과 같은 내부 문제들이 폭로되면서, 교회는 신뢰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더욱 심각한 것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언론과 정치적 영향력을 동원해 은폐하거나 축소하려는 시도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교회의 도덕성과 투명성을 더욱 의심케 하고 있다.언론의 역할과 비판교회가 운영하거나 연계된 언론은 문제를 덮는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바티칸의 공식 신문인 로세르바토레 로마노는 성 학대 사건에 대한 심층적인 보도를 거의 하지 않으며, 교회의 긍정적인 활동만을 부각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가톨릭신문과 가톨릭평화방송 같은 매체들이 주로 교회의 이미지 개선.. 더보기 신앙의 축제, 그 이면의 고통: 세계청년대회와 성 학대 문제 세계청년대회와 같은 대규모 행사는 신앙의 결속을 강화하고, 청년들에게 희망과 영감을 주는 긍정적인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가톨릭 교회 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성 학대 문제와 이를 둘러싼 미온적인 대응을 감안할 때,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이러한 행사를 개최하는 것은 단순히 축제의 의미를 잃는 것을 넘어, 추가적인 피해자를 양산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를 낳고 있었다.포르투갈 가톨릭 교회는 최근 수십 년 동안 만연했던 성 학대 문제와 이를 조직적으로 은폐한 사실로 인해 심각한 신뢰 위기를 겪고 있었다. 피해자들은 어린 시절 성직자들에 의해 학대당했으며, 조사 결과에 따르면 1950년부터 2020년까지 피해자가 최소 4815명에 달한다고 밝혀졌다. 그러나 교회는 이 문제에 대해 책임 있는 태도를..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