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여성 신도의 고통: 교회 내 차별과 성적 착취의 실상

사진출처: 한국경제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내 개신교인의 비율이 전체 인구의 15%까지 감소했다. 2012년 22.1%였던 비율이 2023년에는 15%로 줄어든 것은 단순히 시대적 변화나 종교의 영향력 약화 때문만은 아니었다. 이 현상의 주요 원인은 개신교 내부, 특히 A목사와 같은 타락한 목사들이 보여준 부도덕한 행태와 깊은 연관이 있었다. 신도들은 교회에서 기대했던 영적 위로와 신앙 공동체의 본질을 찾지 못하고, 오히려 경제적 착취와 심리적 압박으로 인해 실망을 겪으며 교회를 떠나고 있었다.

A목사는 신도들에게 과도한 헌금을 강요했을 뿐만 아니라, 여성 신도들에게 성적 요구를 했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종교적 권위를 이용해 신도들을 심리적으로 통제하고, 그 과정에서 윤리적 한계를 넘나드는 행태를 보였다. 피해자들은 그의 행동이 교회 내부에서 묵인되었으며, 이를 지적하려는 시도마저 억압당했다고 증언했다. 이러한 사건들은 단순한 개인의 일탈을 넘어, 개신교 내부의 병폐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목사는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기는커녕, 책임을 회피하며 신도들의 실망과 분노를 키웠다.

특히 여성 신도들은 교회 내에서 더 큰 차별과 억압을 경험하고 있었다. 여성들은 종종 교회 내에서 봉사와 순종을 요구받으며, 의사결정 과정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많았다. 더 나아가, A목사와 같은 목사들이 자신의 권위를 이용해 여성들에게 부당한 요구를 하거나 성적 착취를 시도하는 행태는 여성이 교회를 떠나게 만드는 또 다른 이유가 되었다. 여성 신도들은 교회가 평등과 영적 위로의 공간이 아니라, 차별과 통제의 장으로 변질되었다고 느끼며, 더 이상 자신들의 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었다.

이러한 목사들의 행태는 교회를 떠나는 사람들의 증가로 이어졌다. 조사에 따르면, 교회 출석을 중단한 "가나안 성도"의 비율은 2017년 23.3%에서 2023년 29.3%로 상승했다. 신도들은 더 이상 교회를 신앙과 위로의 공간으로 여기지 않았다. 오히려 교회는 그들에게 경제적 부담과 심리적 억압, 그리고 불평등을 경험하는 장소로 느껴지고 있었다. 이는 개신교가 본질적인 역할을 상실하고, 신도들로부터 멀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개신교 뉴스와 일부 설교에서는 여전히 "교회에 다니면 행복해질 것"이라는 메시지를 강조한다.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대다수의 개신교회는 신도들에게 영적 위로를 제공하기는커녕 경제적 착취와 도덕적 실망, 그리고 성차별을 안기며 행복과는 거리가 먼 경험을 제공하고 있었다. 특히, 번영신학과 같은 잘못된 신앙 논리는 헌금을 물질적 축복과 연결 지어 신도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안겼다. 교회가 내세우는 "행복"은 허상에 불과하며, 이는 목사들의 탐욕과 권위주의적 운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개신교회가 신뢰를 회복하려면 내부의 구조적 병폐를 철저히 점검하고 도덕적 기준을 재정립해야 한다. 목사들은 권위와 책임을 동시에 짊어져야 하며, 신도들에게 신앙의 자유와 영적 위로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여성 신도들에게 평등한 대우와 안전한 신앙 환경을 보장하는 것이 필수적이었다. 오히려 비종교인의 시선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종교는 개신교이며, 종교적 분리를 실천하지 못하며 불평등을 강요하고 여성의 인권을 하락시키는 등 미래 지향적일 수 없는 성경을 토대로 계속해서 그릇됨을 해석하여 전파하고 있었다. 가톨릭도 문제가 많지만 개신교회는 먼저 사라져야 하는 구시대의 산물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