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의 역할과 존재이유

천주교와 여성, 반복되는 논란의 실체

사진출처: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5/apr/16/vatican-ends-crackdown-us-nuns-radical-feminism

천주교의 여성 관련 논란, 무엇이 문제였나?

최근 천주교 내에서 여성과 관련된 논란이 잇따라 발생하며 사회적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성직자의 부적절한 발언부터 성범죄 은폐 시도까지 다양한 사례가 드러나고 있다. 이에 각 사건의 개요, 문제점, 사회적 반응, 그리고 교회의 대응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함세웅 신부의 여성 비하 발언 논란 (2023년)

사례 개요
2023년 11월 말, 원로 성직자인 함세웅 신부가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의 행사에서 “방울 달린 남자들이 여성 하나보다 못하다”라는 발언을 했다. 여기서 ‘방울 달린 남자’는 사제 복장의 남성을 뜻하는 표현이었으며, 문재인 전 대통령과 이낙연 전 총리를 빗댄 것이었다. 그는 추 전 장관(여성)의 결단력이 남성 정치인들보다 낫다는 취지였다고 설명했지만, 표현 방식이 논란이 되었다.

문제점
함 신부의 발언은 성차별적 비유로 받아들여졌다. 특히 “여성 하나보다 못하다”라는 표현이 여성 전체를 하위에 두는 뉘앙스로 들려 여성 비하 발언이라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국민의힘 등 일부 정치권에서는 “전형적인 남성 우월주의에 젖은 여성 멸시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종교인의 입에서 나온 말이라는 점에서 천주교 성직자의 품격 문제로까지 이어졌다.

사회적 반응
여성계와 정치권에서는 즉각적인 반발이 일어났다. 국민의힘 이용호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세계의 모든 여성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고, SNS와 언론에서도 “성직자가 여성 비하를 했다”는 비난 여론이 확산되었다. 천주교 신자들 사이에서도 “신부님 말씀이라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이 나왔다.

이후 조치 및 변화
함세웅 신부의 공식적인 사과 발표는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천주교 내부에서는 성직자의 발언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종교인들의 성인지 감수성 제고 필요성이 다시 한번 부각되었다.


2. 천주교 ‘미투’ 사건과 2차 가해 논란 (2018년)

사례 개요
2018년 2월, 미투 운동이 확산되던 시기에 천주교 수원교구 소속 한만삼 신부의 성범죄 의혹이 폭로되었다. 피해자는 2011년 남수단 선교 활동 중 지속적인 성추행과 성폭행 시도를 당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사건이 공개된 이후 교회의 대응이 미온적이었으며, 일부 성직자의 가해자 옹호 발언까지 나오며 논란이 더욱 커졌다.

문제점
한 신부는 범행 후 국내로 복귀해 평소처럼 사목 활동을 이어갔다. 폭로 직후 수원교구는 그를 지방으로 피신시켰고, 공개 징계나 수사 협조 내용을 발표하지 않았다. 교회가 가해자를 보호하려 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더 큰 문제는 성직자의 2차 가해 발언이었다. 김유정 신부(당시 대전가톨릭대학교 총장)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 신부가 7년간 피해자에게 용서를 구했지만 용서받지 못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렸다. 그는 가해 신부의 사회적 헌신을 죄에 대한 보속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하지만 피해자는 사과를 받은 적이 없었고, 이러한 발언은 피해자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2차 가해로 간주되었다.

사회적 반응
천주교 신자들과 여성 단체들은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교회의 대응이 미온적이며, 내부적으로 가해자를 보호하려 한다는 의혹이 커졌다. 천주교 정의구현사제단 등 진보 성향의 성직자 모임도 피해자를 지지하는 성명을 발표했지만, “가해 신부도 우리의 형제”라는 표현이 포함되며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후 조치 및 변화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은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며 성범죄에 대한 엄격한 처벌과 사제 관리 제도 개혁을 약속했다. 하지만 가해 신부에 대한 형사 처벌이나 파면 소식은 명확히 전해지지 않아 “교회 내부 처벌은 여전히 관대하다”는 비판이 남았다.


3. 천주교 대전교구 성추행 사건과 솜방망이 징계 논란 (2018년)

사례 개요
2018년 2월, 2001년 당시 고등학생이던 여성 신자가 대전교구 소속 신부로부터 성폭행 시도를 당했다고 폭로했다.

문제점
천주교 대전교구는 자체 조사 후 해당 신부의 성추행 시도가 사실임을 확인하고 정직(停職) 처분을 내렸다. 하지만 정직은 일정 기간 사목 활동을 금지하는 조치로, 파면이나 출교가 아니었다. 이에 “솜방망이 처벌”이라는 비판이 거세게 일었다.

사회적 반응
천주교 신자들과 교육계, 여성 단체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미성년자 신도에 대한 성범죄였던 만큼, “학생을 성직자에게 맡겨도 되는가”라는 불안이 커졌다. 온라인에서는 “사제의 범죄도 일반 범죄처럼 처벌해야 한다”는 청원이 이어졌다.

이후 조치 및 변화
교회법상 최대 처벌인 성직 박탈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지만, 교구 차원의 강력한 추가 조치는 발표되지 않았다. 결국 교회의 처벌 기준이 사회 통념보다 관대하다는 인식만 남게 되었다.


종교계의 책임과 변화의 필요성

최근 천주교 내에서 발생한 여러 여성 관련 논란은 성직자 개인의 일탈을 넘어, 교회의 대응 방식과 구조적 문제로까지 확대되었다. 성직자의 부적절한 발언과 성범죄, 그리고 이에 대한 교회의 미온적 대응은 신자들에게 실망을 안겨주고 있다.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들이 많다. 종교 기관도 사회적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성인지 감수성 강화, 피해자 보호 중심의 대응 체계 마련, 성직자의 윤리적 책임 강화 등이 필요하다. 앞으로 천주교가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지 지켜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