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불교 사찰이 천주교 성지화 사업에 포함되면서 불교계와 가톨릭 간의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천진암과 주어사와 같은 불교 사찰이 천주교 성지로 재구성되면서 불교의 역사가 소외되고 있다는 불교계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 역사에서 오랜 시간 공존해왔던 불교와 가톨릭 간의 우호적 관계는 이번 성지화 논란으로 인해 큰 위협을 받고 있다. 종교 간 공존과 상호 존중을 위해 성지화 사업의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천진암과 주어사의 성지화는 종교적 배경을 가진 두 장소가 어떻게 가톨릭 중심의 역사로 재구성되었는지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천진암은 원래 불교 사찰이었으나, 조선 후기 서학을 연구하던 유학자들을 숨겨주다 폐사된 곳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현재는 천주교 성지로 변모하여 불교 사찰로서의 정체성을 잃은 상황이다. 주어사 역시 유사한 역사를 공유하며 천주교 순례자들이 찾는 성지가 되었다. 불교계는 이러한 변화가 그들의 역사와 문화를 지우는 행위로 보고 있으며, 이는 종교적 갈등을 야기하고 있다. 특히 천진암 성지화 과정에서 불교적 의미를 무시하고 가톨릭적 상징물로 대체한 점은 불교계의 강한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광주시와 수원교구가 천진암과 남한산성을 잇는 ‘순례길’을 조성하겠다는 협약은 불교계의 분노를 더욱 증폭시켰다.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당시 불교 승군이 청나라 군대와 싸우기 위해 축조에 참여한 중요한 역사적 장소로, 불교적 의미가 깊은 곳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주교는 이곳을 천주교 순례길로 개발하려 하며, 남한산성의 불교적 유산을 지우고 있다. 이는 가톨릭이 불교의 역사적 공헌을 무시하고, 자기들만의 해석을 통해 장소를 독점하려는 이기적인 행동으로 해석된다.
천주교 성지화 사업은 단순한 종교적 행보가 아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천주교 성지화 사업이 단순한 종교적 행사에 그치지 않고, 국가와 지방 자치 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대규모 세금이 투입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시는 ‘서울순례길’을 국제 관광지로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수백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입해 천주교 성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천진암 성지화 사업에서도 막대한 세금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자금이 특정 종교의 이익에 치우쳐 사용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는 국가 세금이 종교적 중립성을 위반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세금이 투입된 성지화 사업은 공공의 이익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특정 종교의 상징성을 강화하는 데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종교 간 갈등을 조장하는 동시에,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모든 국민의 세금이 특정 종교의 성지 조성에 사용되는 것이 과연 타당한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종교적 편향성이 담긴 행정 처리로 비칠 수 있다.
따라서 불교 사찰의 천주교 성지화 사업은 더욱 신중하고 공정하게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정 종교의 역사를 기념하고 기리는 일은 중요하지만, 다른 종교의 유산을 침해하거나 지우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서는 안 된다. 종교적 상징성이 강한 장소일수록 역사적 공존의 가치를 존중하며, 다양한 종교와 문화가 함께 기억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